지진은 예고 없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전에 대비하고, 발생 시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※ 자연재난 행동요령 참고 https://www.safekorea.go.kr/idsiSFK/neo/sfk/cs/contents/prevent/prevent09.jsp?menuSeq=126
국민재난안전포털
지면이 흔들리는 자연 현상으로, 예고 없이 찾아오기 때문에 많은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.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을 평소에 익히고, 실제 발생 시 침착하게 대
www.safekorea.go.kr
※ 국민재난 안전포털 참고 https://www.safekorea.go.kr/idsiSFK/neo/main/main.html
국민재난안전포털
www.safekorea.go.kr
1️⃣ 실내에 있을 때 (집, 학교, 사무실 등)
✅ 탁자 아래로 들어가 머리 보호
- 튼튼한 탁자나 책상 아래로 들어가 머리를 보호하고, 탁자가 흔들리지 않도록 다리를 단단히 잡습니다.
- 탁자가 없을 경우 방석, 가방, 손으로 머리를 감싸고 벽 근처에 웅크립니다.
- 절대 창문 가까이 가지 말 것! 유리가 깨질 위험이 있습니다.
✅ 출구를 확보하고 대피 준비
- 문이 변형되어 갇히지 않도록 지진 발생 직후 문을 열어 탈출로를 확보합니다.
- 진동이 멈춘 후 신속히 건물 밖으로 이동하되, 엘리베이터는 절대 이용하지 않습니다.
✅ 전기·가스 차단 후 신속히 대피
- 전기가 끊기면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가스 밸브를 잠그고, 전기를 차단합니다.
- 불이 났다면 젖은 수건이나 옷으로 코와 입을 막고 낮은 자세로 대피합니다.
✅ 무거운 물건, 가구에서 멀리 떨어지기
- 책장, 서랍장, 텔레비전 등 무거운 물건이 떨어질 수 있으니 가구에서 떨어진 곳에서 대피합니다.
- 지진 전에 가구를 벽에 고정해 두면 더 안전합니다.
2️⃣ 실외에 있을 때
✅ 넓고 탁 트인 공간으로 이동
- 건물, 가로등, 전신주, 간판, 유리창 등 낙하물이 있는 곳을 피해서 대피합니다.
- 특히, 담장, 돌담, 절벽 근처는 붕괴 위험이 크므로 즉시 벗어나야 합니다.
✅ 전신주·가로등·간판·유리창 근처에서 멀어지기
- 지진 발생 시 전선이 끊어질 위험이 있으니 전신주 근처에서 대기하면 안 됩니다.
- 큰 유리창 근처에 있으면 유리가 깨져 다칠 수 있으므로 즉시 이동합니다.
✅ 주변 사람들과 안전거리 유지
- 혼잡한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몰려 넘어지거나 사고가 날 위험이 있으니 서로 안전거리를 유지합니다.
3️⃣ 운전 중일 때
✅ 비상등을 켜고 천천히 속도를 줄여 안전한 곳에 정차
- 갑작스러운 급제동은 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 가장자리나 넓은 공간에 정차합니다.
- 차량이 흔들리는 동안은 차 안에서 대기하고, 라디오로 정보를 확인합니다.
✅ 교량, 터널, 고가도로 근처에서 즉시 벗어나기
- 다리, 터널, 고가도로는 붕괴 위험이 있으므로 즉시 벗어나야 합니다.
- 지진 발생 후에도 여진이 올 수 있으므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차량에서 내릴 때 키는 두고 대피
-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면 차량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차 키를 꽂아두고 대피해야 긴급차량이 이동할 수 있습니다.
※ 비상연락망( 자치단체 ) 참고 https://www.safekorea.go.kr/idsiSFK/neo/sfk/cs/ppn/emg/SDIJKM5602.html?menuSeq=596
국민재난안전포털
www.safekorea.go.kr
4️⃣ 지진 발생 후 행동 요령
✅ 여진(2차 충격)에 대비하여 즉시 안전한 장소로 이동
- 강한 지진 후 여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건물 안으로 다시 들어가지 말고,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.
✅ 라디오, 뉴스, SNS로 최신 정보 확인
-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TV, 라디오, 스마트폰을 통해 지진 관련 방송을 확인합니다.
- 허위 정보에 속지 않도록 신뢰할 수 있는 공식 채널(기상청, 행정안전부, 지자체 공지 등)을 확인합니다.
✅ 부상자가 있을 경우 응급처치 후 신고 (119)
- 경미한 부상자는 스스로 응급처치하고, 중상자는 119에 신고 후 응급 처치를 실시합니다.
- 출혈이 있는 경우 깨끗한 천으로 압박하여 지혈합니다.
✅ 불이 났을 경우 신속히 대피
- 불길이 크면 불을 끄려고 하지 말고 즉시 대피 후 신고(119) 합니다.
- 불이 났을 때는 젖은 수건이나 옷으로 코와 입을 막고 낮은 자세로 이동합니다.
✅ 가스·전기 차단 후 대피
-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가스 밸브를 잠그고, 전기를 차단한 후 대피합니다.
✅ 안전이 확인된 후 귀가
- 여진 위험이 사라지고 정부 기관에서 안전하다고 발표한 후 귀가합니다.
- 귀가 후 건물의 균열 여부, 가스 누출, 전기 이상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.
5️⃣ 사전 대비 방법 (지진 발생 전 준비)
✅ 비상용품 미리 준비
☞ 지진 대비 비상가방을 준비해두고, 항상 쉽게 꺼낼 수 있는 곳에 둡니다.
- 물, 비상식량 (통조림, 건빵 등)
- 손전등, 건전지
- 응급약품 (소독약, 붕대, 지혈제, 상비약 등)
- 방한용품 (담요, 옷)
- 호루라기 (구조 요청용)
- 휴대용 라디오 (정보 확인용)
- 현금, 신분증, 가족 연락처
✅ 가족과 대피 장소 및 비상 연락망 정하기
- 가족, 친구들과 대피 장소 및 연락 방법을 미리 정해놓습니다.
- 휴대전화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으로 연락 가능한 방법(메모, 지정 장소 등)을 준비합니다.
✅ 집 안에서 위험 요소 제거
- 무거운 가구나 가전제품을 벽에 고정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.
- 유리창에는 창문 필름을 붙여 깨질 위험을 줄입니다.
✅ 대피 훈련 및 행동 요령 숙지
- 회사, 학교, 가정에서 정기적인 대피 훈련을 진행하고, 지진 행동 요령을 익혀둡니다.
결 론
지진 대비는 미리 준비하고, 발생 시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!
지진은 갑작스럽게 발생하지만, 대비만 잘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평소에 안전수칙을 숙지하고, 비상 대피 계획을 세워두세요~!!!!!